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tartup probe
- OOM
- liveness probe
- Heap
- readiness probe
- 회고
- configmap
- diskpressure
- 글또
- logback
- java
- property
- Probe
- application properties
- spring boot
- k8s
- Java Virtual Machine
- ORM
- xms
- JVM
- jpa
- properties
- Kubernetes
- pod
- evicted
- Xmx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
여우발개발
사실 이번 주 독후감을 안 내고... 기술글을 쓰려했으나...월화수목금토일 야근혹은약속으로(맞다 어차피 핑계다) 급회고글을 작성해 본다.회고글이라! 장애 포스트모텀 말고는 작성해 본 적이 없는 것 같은데 글또 회고라기보다는 글또 기간의 인생에 대한 회고가 될 것 같다.시작작년 심해 같던 봄이 지나고, 아지랑이 같던 여름에 학교 후배가 글또 모집 예정을 알려줬다. 심해를 겪으며 급속 T화를 겪던 나는 기술 블로그도 항상 해보고 싶기도 했고 빡세게 이직을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며 보조수단으로 활동하면 좋겠다 싶어 신청하게 됐다. 꿈같던 가을을 지날 때 즈음 글또 합격메일이 왔다고 했다. 했다 인 이유는 나는 못 받았기 때문이다. 신청했던 메일의 용량이 다 차서 메일이 안 오는 이슈 발생 ㅋㅋㅋ... 왜 난..
4.1 @Entity@Entity 를 선언한 클래스는 JPA가 entity로써 관리한다.파라미터가 없는 기본 생성자 필수 (public, protected 가능)lombok @NoArg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사용 추천final class, enum, interface, inner class에는 사용 불가저장할 field가 final이면 안 된다.속성기능기본값nameJPA에서 사용할 엔티티 이름을 지정한다.{class 이름}4.2 @Table속성기능기본값name매핑할 테이블 이름{entity 이름}catalogcatalog 기능이 있는 DB에서 catalog 매핑 schemaschema기능이 있는 DB에서 schema매핑 uniqueConstraint..
3장의 주된 내용은 영속성 컨텍스트(consistence context)에 대한 이해이다.entity가 영속 상태이어야 JPA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JPA가 제공하는 기능엔티티를 매핑하는 설계 부분매핑한 엔티티를 실제 사용하는 부분3장에서는 매핑한 엔티티를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탐구한다. 3.1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와 엔티티 매니저// 비용이 아주 많이 든다.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unit name}}");EntityManagerFactoryJPA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반 객체 생성factory라는 이름 답게 비용이 아주 많이 든다비용이 크므로 데이터베..

2장은 본격적으로 JPA 탐구를 시작하기 전 환경 설정과 간단히 돌아가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나는 시작부터 spring-boot에서 jpa를 시작해서 추가적으로 셋팅하는 법을 같이 기입했다.2.1 이클립스 설치와 프로젝트 불러오기intellij 유저라 pass2.2 H2 데이터베이스 설치책에서는 H2 DB가 설치도 필요없고 가벼워서 추천했지만…다운로드도 해야하고 실제 DB는 H2가 아닌 mysql이나 기타 등등을 사용할 것이기에요새는 local 환경에 docker만 잘 셋팅되어 있다면 mysql 띄우기는 쉬워보여서 그쪽으로 진행했다. → 보러가기 : https://devfoxbox.tistory.com/82.3 라이브러리와 프로젝트 구조책에서는 maven을 사용하도록 알려준다. ..

1장은 간단히 JPA에 대한 소개이다. SQL을 직접 다룰 때 여러 문제들이 있지만..그렇다고 도메인 모델을 객체로 모델링하자니 두 패러다임 간의 불일치로 생기는 문제를 알려주고 있다.위 두 문제들을 나이스하게 해결해주는 방법으로 JPA를 소개하고 있고Q&A 파트에서 실 사용자가 궁금해할만한 내용들을 이야기해주고 있다. '왜' 쓰는지 알아야 열심히, 잘 쓸 수 있기 때문에 흥미롭게 읽었다.JPA의 핵심 개념들을 이해해야 함핵심 개념인 영속성 컨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SQL을 직접 사용하는 것보다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특히나 매우 찔렸던 부분)1.1 SQL을 직접 다룰 때 발생하는 문제점SQL을 사용해서 객체를 다루려면 번거롭다진정한 의미의 계층 분할이 어렵다물리적으로는 SQL과 JDBC A..

배경평화로운 어느 날 인프라팀으로부터 연락이 왔다. ➜ k get po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service-84b696cf44-29nkp 1/1 Running 0 49dservice-84b696cf44-2z2j9 0/1 Evicted 0 7d1hservice-84b696cf44-48vtm 1/1 Running 0 49dservice-84b696cf44-4p78z 1/1 Running 0 ..

배경신규 프로젝트를 셋팅해야한다! 맨 땅에서 시작하는 프로젝트는 너무 오랜만이다.룰루랄라 설계를 하고 소스리포를 따고 테스트용 디비를 셋팅하려고 DB팀에 요청하려다 보니, 아직 프로젝트 이름이 정해지지 않아서 DB 이름도 확정할 수가 없었다. mysql은 논리DB 이름을 변경할 수 없고 새로 만들고 데이터를 이전해야하고 매핑된 계정도 다시 매핑해줘야한다고 하신다. 나도 2번 일하기 싫어하는 사람인데 DB팀을 2번 일하게 할 바에 로컬에다가 셋팅을 하기로 마음먹었다.서버 배포 시에는 컨테이너 기술을 당연하게 사용했지만 로컬 환경에서 사용해본 적은 없었다. 이왕 한 김에 윈도우에서 도커를 써보기로 했다.목표windows 환경에서 docker 설치설치된 docker에서 mysql 설치Loghttps://www..

느리게 작성하는 후기!글또 10기의 백엔드/인프라 반상회! 개발자 커뮤니티는 나름 많이 해봤지만(동아리, 멋사 등) 다 학생 때 했던 것들이라 일을 시작한 이후로는 처음이었다.같이 글또를 하자고 했던 친구가 공지가 뜨자마자 알려줘서 신청했고, 글팽이가 알려줘서 갈 수 있게 되었다!정말 정말 와보고싶었던… 하지만 피터지는 경쟁률(로 예상)으로 스터디하러 와보지 못했던 우아한 테크살롱에 와서 구경도 하고 같이 간 친구의 인싸 행동(아니 뭔 인사를 계속한다 난 아싸라 아무도 몰랐다 ^^)을 구경하고 있자니 세미나가 시작됐다.시작 전 크라이치즈버거.. 사장님이 햄버거를 주셨는데 같이 주신 종이에 정말 열정 넘치는 분이란게 느껴졌다. 나도 열심히 살아야지. 깜빡하고 사진은 못 찍었다 ㅠ세미나세미나를 보면서 나름 ..

영단어 “Probe”무엇이든 본 단어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K8S의 Probe를 알기 전에, 영단어 Probe를 먼저 이해해 보자. Probe는 한국말로 조사, 탐침, 시험, 규명 등의 뜻을 가지고 있군! K8S의 “Probe”파드 라이프사이클 파드 라이프사이클이 페이지에서는 파드의 라이프사이클을 설명한다. 파드는 정의된 라이프사이클을 따른다. Pending 단계에서 시작해서, 기본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OK로 시작하면 Running 단계를 통과하kubernetes.io 영단어 probe가 조사, 규명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다면 K8S의 probe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K8S의 probe 는 kubelet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컨테이너에 대한 진단이다. P..

아니 진짜 내꺼에선 잘 되는데 그날은 거진 한 달이 미뤄진 준비의 최종준비의 진짜최종준비를 했던 배포날이었다. 오래 미뤄져 나름대로 준비가 된 상태라고 생각했고, 걱정 없이 argoCD에서 sync를 눌렀는데, 이게 웬걸 pod가 뜨질 않는다. 자꾸 readness check에 실패했다고 뜨질 않는가. google pub/sub쪽 에러가 뭔가 와장창 뜬다. 방화벽 문제인가? 분명 오픈요청도 다 했고 잘 열어주셨다. 보안팀을 붙잡고 같이 원인파악을 해보지만 특별한 이상은 없다. 이쯤 되면 뭐라도 이상이 나와줬으면 하지만 이상이 없다는 단호한 보안팀의 답변에 일단 다른 이상한 점을 찾아보기로 한다. test 환경에 다시 빌드를 해서 띄워본다. 어라 뜨지 않는다. 근데 이전 버전의 pod는 너무나 잘 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