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onfigmap
- readiness probe
- application properties
- startup probe
- java
- Heap
- spring boot
- 오블완
- property
- 티스토리챌린지
- OOM
- Probe
- pod
- logback
- Xmx
- diskpressure
- properties
- JVM
- evicted
- Kubernetes
- Java Virtual Machine
- liveness probe
- ORM
- jpa
- k8s
- xms
- Today
- Total
목록Backend (2)
여우발개발
아니 진짜 내꺼에선 잘 되는데 그날은 거진 한 달이 미뤄진 준비의 최종준비의 진짜최종준비를 했던 배포날이었다. 오래 미뤄져 나름대로 준비가 된 상태라고 생각했고, 걱정 없이 argoCD에서 sync를 눌렀는데, 이게 웬걸 pod가 뜨질 않는다. 자꾸 readness check에 실패했다고 뜨질 않는가. google pub/sub쪽 에러가 뭔가 와장창 뜬다. 방화벽 문제인가? 분명 오픈요청도 다 했고 잘 열어주셨다. 보안팀을 붙잡고 같이 원인파악을 해보지만 특별한 이상은 없다. 이쯤 되면 뭐라도 이상이 나와줬으면 하지만 이상이 없다는 단호한 보안팀의 답변에 일단 다른 이상한 점을 찾아보기로 한다. test 환경에 다시 빌드를 해서 띄워본다. 어라 뜨지 않는다. 근데 이전 버전의 pod는 너무나 잘 떠있다...
Out Of Memory 운영하는 프로젝트에서 간헐적으로 OOM가 발생했다. Heap dump를 뜨고 살펴봐도 딱히 메모리 누수라던지 특이한 점은 보이지 않았다. 무언가가 해결되지 않을 때는 돈(과 시간과 노력)이 너무 부족하지는 않았는지 고민해보고, OOM이 딱히 별 이유없이(정말 메모리 누수가 없는 것이 확실한가?) 난 것 같다면 메모리가 너무 부족하지는 않았는지 생각해보자. JVM Memoryout of ‘MEMORY’ 인 건 알겠는데, 어떤 메모리를 추가해야할까?JVM은 아래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JAVA 8 이전 기준, Runtime Data Areas 부분을 참고하자) 여기서 개발자가 new 키워드를 통해 동적으로 생성한 객체들은 Heap Area에 저장되게 된다.동적으로 생성된 객체들이 G..